바다늑대 FORCE

[스크랩] 주택화재는 사소한 부주의로부터 발생가능합니다 본문

119현장일기/하나일구安全敎室

[스크랩] 주택화재는 사소한 부주의로부터 발생가능합니다

바다늑대FORCE 2013. 12. 30. 15:40


<사진출처 : 뉴시스>

  요즘들어 춥고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겨울 날씨에는 무엇보다 화재에 주의해야 하는데요, 뉴스를 보면 주택화재 소식이 거의 빠짐없이 들려오는게 현실입니다.
  특히나 겨울에는 난방을 위해 전열기 사용을 하면서 화재 위험이 높아지는데요, 전열기 자체의 위험도 있지만 많은 전기사용으로 인해 과부하가 발생해서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니 사용시간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주택화재의 원인과 예방방법, 그리고 화재시 대처요령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주택 화재


1. 주요 원인
- 주택화재의 주요원인은 전기로 인한 화재가 가장 많고 어린이들의 불장난, 방화가스 등의 순서로 나타나 있다.
2. 예방 요령
- 성냥, 라이터 등은 어린이들의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 성냥, 라이터, 폭죽놀이 등을 하지 않도록 단속한다.
- 어린이들에게 불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도록 교육시킨다.
- 어린이들에게 석유난로 등을 켜거나 끄도록 심부름을 시키지 않는다.
- 외출시에는 모든 화기의 안전점검을 하고 어린이들에게 불조심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킨다.
- 잠자리에 들기 전에는 전기, 가스, 석유, 전기기구 등의 안전을 확인하는 습관을 생활화하고 휴지통에는 불씨가 남아있는 담배꽁초 등을 버려서는 안된다.
-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냄비 등을 불에 올려놓은 채 주방을 장시간 떠나지 않도록 한다.
- 가정에 적합한 소화기를 비치하고 그 사용법을 익혀둔다.


■ 전기 화재

□ 누전
1. 누전이란 ?

- 전선피복이 손상되어 건물들의 철근이나 전기기계 기구함 등의 금속부분을 통하여 전기가 흐르는 현상
2. 누전의 피해
- 전선피복이 연소나 전선과 접촉된 금속체 부위에 열이 발생하여 인화물질에 발화되어 화재가 발생
3. 예방대책
- 220V 전압 공급지역에서는 누전차단기를 반드시 설치
- 110V 지역에도 누전차단기를 설치하면 누전발생시 자동으로 차단되어 더욱 안전
- 건물이나 대용량 전기기구에는 배선을 분류하여 배선별로 누전차단기를 설치합시다.
- 배선의 피복손상 여부를 수시로 확인합시다.
- 전선이 금속체나 젖은 구조물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배선해야 합니다.

□ 합선
1. 합선이란 ?

- 전선이 낡아 +선과 -선이 맞닿은 상태로, 아크와 동시에 고열이 발생하는 현상
2. 합선의 피해
- 합선되면서 고열과 아크로 인해 주위의 인화물질에 착화되어 화재발생
3. 예방대책
- 용량이 큰 전기기계기구를 동시에 여러개 사용제한
- 후배선에서 피복이 벗겨져 합선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전기설비관리에 유의
- 과전류 발생시 전기를 차단하는 정격용량의 퓨즈 또는 차단기를 사용
- 스위치, 배전반 등의 내부를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전기가 통할 수 있는 물질이나 가연성 물질 등을 제거합시다.
- 천정 등 보이지 않는 장소에 시설된 전선에 대해서도 수시로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합시다.
- 배선은 가능한 보호관을 사용하고 열이나 외부 충격 등에 노출되지 않도록 합시다.
- 못이나 스테이플러로 전선을 고정하지 않도록 합시다.
- 바닥이나 문틀을 통과하는 전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배관 등으로 보호합시다.

□ 용량초과
1. 용량초과로 인한 피해

- 용량을 무시한 채 문어발배선 등으로 많은 전기기구를 사용하게 되면 많은 과전류로 인해 전선이 맞붙어 아크와 함께 고열로 인한 화재 발생
2. 예방대책
- 열을 발생하는 전기기구는 반드시 콘센트에 한개의 기구 사용
- 비닐전선은 용량초과 사용시 위험이 크므로 반드시 규격전선 사용

※ 전기안전 3대 수칙
<전기안전 3대 수칙만 지켜도 90% 전기화재 예방 가능>
- 불법시설의 금지 및 임의 시설공사시 안전시공
- 허용 전류치 이상의 부하사용 금지(전열기 등 동시 사용 제한)
- 누전차단기 주기적인 점검 및 노후시설 교체


■ 화재대응 요령

1. 화재 시 이렇게 대피합시다.
- 불을 발견하면 ‘불이야’하고 큰소리로 외쳐서 다른 사람에게 알립시다.
- 화재경보 비상벨을 누릅시다.
- 엘리베이터는 절대 이용하지 않도록 하며 계단을 이용합시다.
- 아래층으로 대피가 불가능한 때에는 옥상으로 대피합시다.
- 불길 속을 통과할 때에는 물에 적신 담요나 수건 등으로 몸과 얼굴을 감싸주세요.
- 방문을 열기 전에 문손잡이를 만져보세요.
* 손잡이를 만져 보았을 때 뜨겁지 않으면 문을 조심스럽게 열고 밖으로 나갑시다.
* 손잡이가 뜨거우면 문을 열지 말고 다른 길을 찾읍시다.

- 대피한 경우에는 바람이 불어오는 쪽에서 구조를 기다립시다.
- 밖으로 나온 뒤에는 절대 안으로 들어가지 맙시다.
* 다른 출구가 없으면 구조대원이 구해줄 때까지 기다립시다.
* 연기가 방안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문틈을 옷이나 이불로 막읍시다(물을 적시면 더욱 좋습니다).

- 연기가 많을 때 주의사항 입니다.
* 연기층 아래에는 맑은 공기층이 있습니다.
* 연기가 많은 곳에서는 팔과 무릎으로 기어서 이동하되 배를 바닥에 대고 가지 않도록 합시다.
* 한 손으로는 코와 입을 젖은 수건 등으로 막아 연기가 폐에 들어가지 않도록 합시다.
- 옷에 불이 붙었을 때에는 두 손으로 눈과 입을 가리고 바닥에서 뒹굴어 주세요.
2. 화재신고는 이렇게 하세요.
- 침착하게 전화 119번을 누릅니다.
- 불이 난 것을 말합니다.
- 화재의 내용을 간단·명료하게 설명합니다(우리집 주방에 불이 났어요. 2층 집이예요).
- 주소를 알려 줍니다(○○구 ○○동 ○○○번지예요 / ○○초등학교 뒤 쪽이에요).
- 소방서에서 알았다고 할 때까지 전화를 끊지 맙시다.
- 공중전화는 빨간색 긴급통화 버튼을 누르면 돈을 넣지 않아도 긴급신고(119, 112 등) 통화를 할 수 있습니다.
- 휴대전화의 경우, 사용제한된 전화나 개통이 않된 전화도 긴급신고가 가능합니다.
- 장난전화를 하지 맙시다.
※ 119는 화재신고는 물론 인명구조, 응급환자이송 등을 요청하는 번호입니다.
3. 소화기는 이렇게 사용하세요.
- 소화기를 불이 난 곳으로 옮깁시다.
- 손잡이 부분의 안전핀을 뽑아주세요.
- 바람을 등지고 서서 호스를 불쪽으로 향하게 합시다.
- 손잡이를 힘껏 움켜쥐고 빗자루를 쓸 듯이 뿌립시다.
- 소화기는 잘 보이고 사용하기에 편리한 고에 두되 햇빛이나 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합니다.

출처 : 119해병-바다늑대Forever
글쓴이 : 바다늑대[507] 원글보기
메모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