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늑대 FORCE

칠보정사(七寶精舍),무량종 총본산 지리산의 연향(蓮香)에 젖다 본문

바다늑대/山 & 旅行

칠보정사(七寶精舍),무량종 총본산 지리산의 연향(蓮香)에 젖다

바다늑대FORCE 2013. 1. 8. 15:10

 

 

칠보정사(七寶精舍),무량종 총본산

                 지리산의 연향(蓮香)에 젖다.......!

2013년1월8일

하동에서 첫 야간근무를 마치고

관내 지리도 파악할겸 칠보정사를 찾았다.

♣주소 ; 경남하동군 적량면 칠성로748-8

전화 : 055)883-7771.883-7790

♣ 창건이야기

칠보정사는 혜안스님께서 오래 전부터 현몽을 받고 지리산 칠보정사 창건지를 오랜 세월동안 찾아 헤매던중 경오년 윤오월에 명당지를 찾아 터를 닦고 토굴을 지어 부처님을 봉안하기까지 헤아릴 수 없는 수많은 사연들이 있었다. 태어날 때부터 칠성의 기운을 받고 태어났다고 해서 이름을 ‘칠봉’이라 불렀고 자손이 귀한 정씨의 가문에 이대 독자로 태어난 혜안스님은 객지에서 모진 신병으로 죽음을 당하게 되고서야 인생의 무상함을 깨닫고 명산 대천을 찾아다니면서 천지신명과 불보살님께 기도를 하면서, 왜 나에게만 일찍 죽을 모진 병을 가졌는가 하고 명확한 답을 얻고자 오대산 적멸보궁 기도를 마치고 비몽사몽으로 보살의 계시를 받아 불교에 귀의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지리산 칠성봉 등잔설에 자리잡은 칠보정사 사찰 도량은 백두산 천지의 기(氣)가 태백산으로 흘러 지리산으로 들어와 주봉인 천왕봉 원맥에서 정 남으로 길게 뻗은 줄기 삼신봉을 거쳐 칠성봉 등잔설로 기가 모인 이곳, 사람을 이 세상에 태어나게 하고 인간의 숙명을 좌우한다는 삼신과 칠성의 천지의 기를 모아서 인연있는 중생의 발원에 따라 부처님의 자비의 기로화하여 일체 중생들의 구원이 자비광명으로 화 할 수 있는 곳이다.

♣ 위치도

↗ 입구 표지석

↗↘ 칠보정사 도량으로 향하는 길은

봄이면 벚꽃이 만발하여 아름다운 사찰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극락보전(대웅전)으로 향하는 돌계단은

108계단으로 조성되어 한걸음 한걸음108번뇌를 씻게 해준다...!

↗약왕보살상

극락보전으로 향하는 돌계단 죄측에 있는 약왕보살상

↗↘ 극락보전[殿] 서방 극락정토 주재자 아미타불 모시 법당

↗극락보전에 모셔져 있는 삼존불

↗극락보전 벽면에는 심우도가 그려져 있다

심우도 : 득도하는 과정을 소와 사람으로 설명한 그림 -

심우도라는 말은 ‘소를 찾는 그림’이라는 뜻이다. 소는 곧 도(道)를 상징한다.

주로 불가(佛家)에서 득도(得道)하는 과정을 대중들에게 간략하게 설명하는 방편으로 널리 사용하였다.

여기에서는 유가의 심(心)의 관점에서 심우도를 고찰해 보기로 한다.

심우도를 이해하는 데한 도움이 될 수 있으리 라는 기대에서다.

↗↘ 삼성각

삼성각에 모셔져있는 칠성 산신 독성

↗↘석굴암에 모셔져 있는 문수동자

문수보살은 왜 동자상인가
화엄경소에 나오는 동자형서 근거
상원사 문수동자상에서 보듯 문수보살은 보통 동자형으로 형상화 되어 있다.
문명대 교수는 이에 대해 710년 중국어로 번역된
불설문수사리법보장다라니경(佛說文殊師利法寶藏陀羅尼經)에서 그 근거를 찾고 있다.
이 경에는 동북방 대진나(大振那=神州)에 있는
오정산(五頂山)에 문수사리동자(文殊師利童子)가 유행하여
거주하면서 설법하고 있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이 경을 기초로 한 징관의 화엄경소에서는
문수는 머리에 5불관(五佛之冠)을 썼는데
정수리에는 5방으로 상투를 나누었다고 한 말에서
상투 동자형이 나왔다고 한다.

2009년 4월8일 석굴암 문수궁 낙성식을 봉행하였다고하며

이날 각계 원로 대덕큰스님들과 사부대중1500여명이 동참한 가운데

효종 혜안 대종사의 개산조 제1세 종정 취임법회를 함께 봉행하였으며

아울러 해마다 개최되는 지역어르신초청 경로위안잔치도 한다고 한다.

↗심허당

↗삼성각에서 바라본 극락보전

물이 얼지않으면 계곡의 청정수가 폭포되어 흘러나오는 탑

↗등잔바위

옛날부터 불이 켜져 있었다는 전설로 등잔바위라 하는데

영험이 있어 신도들이 많이 찾는다고 한다.

↗요사채

↘종무소

↘ 실내정원 같이 아기자기한것이 스님의 손결이 보인다

♣칠보정사는

지리산 둘레길의 하나

하동악양마을-신대고개-적량동점마을(칠보정사)-사동마을-하동호 코스로 이어 집니다...!

칠보정사(七寶精舍),무량종 총본산

              지리산의 연향(蓮香)에 젖다.......!

바다늑대Forever[2013.01.0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