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ㅅ어
- 첫눈에반한
- 두바이왕자
- 보내세요
- 몸은 액션?
- 베오울프
- 행운을드립니다
- BEOWULF
- 색
- 얼굴은순정
- UCC
- 초미니 비키니 눈길
- 호텔여직원과
- 제니퍼 애니스톤
- 戒 Lust
- 2007)
- ㅕㄴ으로
- Caution
- 사한
- 풍요로운추석명절
- dd
- 무드연주곡
- 얼짱보디빌더 박수희
- The Simpsons Movie
- 베스트 20
- 미소
- 20일만에결혼
- 계 色
- (2007)예고편
- Today
- Total
바다늑대 FORCE
미국(United States of America)뉴욕시티 [New York City] 본문
미국(United States of America)뉴욕시티 [New York City]
미국 북동부 뉴욕 주 남동부의 시.
허드슨 강 어귀에 자리잡은 항구도시이며 미국에서 가장 큰 도시권의 중심지이다. 맨해튼·스태튼·롱 섬의 서쪽 끝부분, 본토의 일부, 뉴욕 항과 롱아일랜드 해협의 여러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도시권은 인접한 뉴욕·뉴저지·코네티컷 주의 일부에까지 뻗어 있다. 뉴욕 시에는 정반대의 것들이 너무 흔하게 공존한다. 지리적인 면에서나 인구통계적인 면에서나 세계에서 가장 복잡하고, 경제활동이 가장 다양하며 문화활동 또한 가장 풍부하고 다각적인 도시이다.
거대한 규모와 복잡성 때문에 뉴욕 시는 종종 통치불능이라는 평을 들었으며, 머지않아 멸망하리라는 예언이 19세기부터 있었다. 20세기 후반 들어 주요기업들이 이 도시제국(Empire City)을 떠나 근교로 이전하면서 멸망의 예언은 더욱 빈번해졌다. 언론들이 환락의 도시(Fun City), 큰 사과(Big Apple)라고 미화했던 이 도시의 거리에서는 범죄가 날로 늘어나고 있다. 공익사업은 질과 효율이 떨어지고, 일거리는 줄고, 시의 관인(官印)에는 한때 부의 상징이던 비버가 여전히 새겨져 있으나 현재 시는 심각한 재정난에 처해 있다.
뉴욕 시는 1세기 훨씬 이전부터 이민의 물결과 타락한 상업경쟁에서 파생하는 많은 불안정한 요소로 인한 슬럼가, 폭동, 전염병, 범죄의 물결, 부패에 시달려왔다. 그런데도 존속할 수 있었던 것은 이 도시가 가진 융통성, 기본적인 민주주의, 생계를 이어나가는 기술에 우선권이 주어지는 점 때문이다. 그것은 무뢰한과 이상주의자, 선동가와 진정한 정치가를 다같이 배출한 이 도시의 이중적인 강점이기도 하다. 면적 : 시 787㎢, 대도시권 3,585㎢, 인구 : 시 8,008,278(2000), 뉴욕 대도시권 9,314,235(2000), 뉴욕-노던 뉴저지-롱아일랜드 대도시권 21,199,865(2000).
<참조 : 브리테니커 사전>
911테러현장 : 설치된 펜스뒤가 무역센터가 있었던 자리이다.
자유의 여신상 - The Liberty Statue
자유의 여신상(Statue of Liberty)은 1886년 미국 독립 1백 주년을 기념하여 프랑스에서 기증한 것이다. 미국과 프랑스의 우호증진을 위한 선물이었지만 지금에 와서는 전 세계인들에게 미국의 상징 더 나아가서는 자유의 상징으로 인식되고 있다.
자유의 여신상은 리버티 아일랜드(Liberty Island)에 있는데 리버티 아일랜드까지 가는 사우스 페리는 배터리 파크에서 탑승하면 되고 30~45분 정도 소요된다.
자유의 여신상의 무게는 225t, 대좌(받침대) 높이가 약 47.5m, 동상 자체의 발끝에서 횃불까지의 높이가 46m이다. 지면에서 횃불까지의 높이는 93.5m에 이른다. 그리고 손만 해도 5m, 집게손가락이 2.44m나 된다. 대좌(받침대)에서 정상까지 엘리베이터를 타고 10층을 올라가야 하며 이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해서는 보통 3시간을 기다려야 할 때도 있다. 강심장을 가진 사람들은 왕관까지 2층을 더 올라 12층까지 갈 수도 있다. 이곳에는 박물관 선물가게도 있다.
*자유의 여신상에 관한 몇 가지 사실
자유의 여신상은 1875년 프랑스에서 만들기 시작하여 1884년에 완성되었고 1885년 미국으로 건너가기까지 프랑스 파리에 서 있었다. 미국으로 건너가기 위해 자유의 여신상을 분해하고 조립한 사람은 귀스타브 에펠(Gustave Eiffel)이었다. 그리고 자유의 여신상이 디디고 있는 토대는 1877년 건축가 리차드 M.헌트가 디자인하여, 1883년 만들기 시작하였고 1884년 완성되어, 1886년부터 여신상을 받치고 있었다.
*운영시간 08:30~17:00 *입장료 성인 12달러, 어린이 5달러
뉴욕 자유의 여신상 유람선 타는곳앞에 있는 6.25 참전 기념비
센터럴파크
뉴욕의 맨하탄은 빌딩들이 숲을 이루고 있습니다. 그 광경을 처음 바라보는 사람이라면 빌딩들의 위용에 탄성을 발하지 않을 사람이 없을 것입니다. 맨하탄의 자랑은 어쩌면 그렇게 대단하게 보이는 빌딩들이 아닐는지 모릅니다. 그것이 미국의 자존심일지도 모르고요. 9.11테러의 현장이었던 쌍둥이 빌딩도 맨하탄이 있었던 것을 보면 그런 면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맨하탄의 빌딩들 숲 한 가운데 엄청난 크기의 공원이 있다는 사실 또한 놀라움입니다.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는 공원이 아닙니다. 센터럴 파크라고 불리우는 맨하탄의 공원은 좌우 50블럭이나 되는 크기이며 아름드리 나무들의 숲을 자랑하고 있었습니다. 가히 맨하탄의 허파라 일컬어 질만한 공원입니다.
맨하탄의 빌딩과 공원을 바라보면서 빌딩과 숲이 적절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맨하탄을 설계하면서 센터럴 파크의 나무와 숲을 헤치지 않고 보존하기로 했다는 이야기를 들으면서 미국적인 사고가 자연을 소중히 여긴다는 사실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자연이 사라지면 인간의 존재도 없습니다. 도시가 화려해 보이지만 자연이 망가지면 흉물로 변해버립니다. 인간은 자연과 함께 공존합니다. 도시도 자연과 함께 공존해야만 그 아름다움을 잃지 않습니다. 맨하탄의 센터럴 파크가 가르쳐 주는 교훈입니다.
[안테넷자료참조]
룩펠러 타워
록펠러(John Davison Rockefeller: July 8, 1839 – May 23, 1937)는 33세에 백만 장자가 되었고, 43세에 미국의 최대 부자가 되었고, 53세에 세계 최대 갑부가 되었지만 행복하지 않았다고 합니다.55세에 그는 불치병으로 1년 이상 살지 못한다는 사형 선고를 받았습니다. 최후 검진을 위해 휠체어를 타고 갈 때, 병원 로비에 실린 액자의 글
"주는 자가 받는 자보다 복이 있다'
그 글을 보는 순간 마음속에 전율이 생기고 눈물이 났습니다.
선한 기운이 온몸을 감싸는 가운데 그는 눈을 지그시 감고 생각에 잠겼습니다.
조금 후 시끄러운 소리에 정신을 차리게 되었는데 입원비 문제로 다투는 소리였습니다. 병원측은 병원비가
없어 입원이 안된다고 하고, 환자 어머니는 입원 시켜 달라고 울면서 사정을 하고 있었습니다.
록펠러는 곧 비서를 시켜 병원비를 지불하고 누가 지불 했는지 모르게 했습니다. 얼마 후 은밀히 도운 소녀가
기적적으로 회복이 되자 그 모습을 조용히 지켜보던 룩펠러는 얼마나 기뻤던지 나중에는 자서전에서 그 순간을
이렇게 표현 했습니다.
"저는 살면서 이렇게 행복한 삶이 있는지 몰랐습니다.
그 때 그는 나눔의 삶을 작정합니다. 그와 동시에 신기하게 그의 병도 사라졌습니다." 그 뒤 그는 98세까지 살며
선한 일에 힘썼습니다.
나중에 그는 회고합니다.
"인생 전반기 55년은 쫓기며 살았지만 후반기 43년은 행복하게 살았다."
[인터넷자료 참조]
뉴욕 한가운데 우리나라 간판이 즐비하다.
'바다늑대 > 山 & 旅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부유럽의 고혹적인 도시, 헝가리[Hungary]부다페스트[Budapest] (0) | 2012.02.04 |
---|---|
미국 유니버셜 스튜디오(Universal Studios Hollywood)& 할리우드 [Hollywood] (0) | 2012.02.04 |
체코의 수도이며 경제 및 문화의 중심지.프라하 [Praha] (0) | 2012.02.03 |
캐나다 [Canada]토론토(Toronto) (0) | 2012.02.03 |
덕유산 삿갓봉 사진2 (0) | 2012.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