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늑대 FORCE

정병산(精兵山),정상에서 아름다운 창원을 품어보다 본문

바다늑대/山 & 旅行

정병산(精兵山),정상에서 아름다운 창원을 품어보다

바다늑대FORCE 2012. 10. 25. 15:08

 

정병산(精兵山),정상에서 아름다운 창원을 품어보다

▲ 정병산(精兵山)566.7m

경남 창원시 토월동, 김해시 진례면

관리주체 : 창원시청 재난관리과

♣ 특징,볼거리

정병산은 일제 강점기 때 일본군이 이곳에 진지를 구축하고 군사훈련을 실시했던 것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그러나 처음 이름은 봉림산이라고 한다. 봉림산은 통일신라시대 말기 진경대사가 이 산자락에 세운 봉림사에서 유래된 듯하다. 당시 이곳에는 봉림사를 비롯해 많은 사찰이 들어서 불교가 융성했다. 그래서 고려시대 때는 부처의 어머니인 마야부인과 관련이 있는 전단산으로 불렸다는데, 창원 시민들이 뜻을 모아 처음 이름인 봉림산으로 다시 새기고 있다. 그래서 정상 표지석 앞면에는 봉림산(鳳林山)으로 표기되어 있고 뒷면에는 정병산으로 되어있다.
정병산은 낙남정맥 구간이다. 뒤돌아보면 천주산, 무척산이 보이고 앞으로는 비음산, 대암산 등 정맥 산줄기가 끝없이 펼쳐진다. 비음산이 있는 동남쪽으로 직진해 헬기장을 지나 내정병산까지 가는 구간은 산세가 옹골차다. 독수리 바위를 비롯한 여러 암봉들이 가파르게 일어섰다. 그러나 계단과 로프, 쇠받침대 등 안전시설물이 설치되어 있어 큰 어려움은 없다.

♣ 2012년10월24일 수요일

체력단련겸 산행을 위해 진주문산ic를 통해 남해고속도로 마산ic에서 내려

창원종합사격장으로 향했다(도로비 2500원)

오전11시에 창원종합사격장에 도착해서 주차를 하고 산행시작

♣ 산행코스 :

창원종합사격장→약수터→소목고개→정병산정상 →수리봉

-→상사갈림길-→내정병봉 -→용추고개→ 우곡사갈림길 →약수터→ 길상사

-→숲속나들이길입구(용추5교)-→월유정-→약수터-→창원종합사격장

약13km 3시간30분소요

↗ 창원종합사격장앞에 있는 숲속나들이길 표지판

↗ 정병산 정상을 향해 걷다..!

↑ 창원종합사격장 뒤 약수터

시원한 물맛을 보고....

↗ 정상까지 이어지는 끝없는 계단

지리산중산리코스를 압축한듯 생각보다 가파른 코스다

해발600m안되는 코스라고 얏보다간 큰코다칠수도 있다.

↗ 정상 정복 기념사진 찍고서

지금은 정병산이라 불리고 있지만, 원래는 전단산이라 하였다.
진경대사 보월능공탑비문에 의하면, 신라시대 진경대사가 강원도 명주에 있다가 김해 서편에 복림이 있다는 말을 듣고 홀연히 그곳을 떠나 진례에 도달하여 절을 세우고 봉림이라 고쳐 불렀다 한다. 고대에 있어서 "림"자가 들어가는 지명은 길지라 하였는데, 통일신라 말기에 구산선문의 하나인 봉림사와 이에 소속된 많은 사찰이 건립되어 불교가 성하게 되었고 그리하여 고려시대 이후에는 전단산이라 불리게 되었다. 마야부인이 전단향나무로 만든 평상위에서 석가모니를 잉태하는 꿈을 꾸었다하여 전단은 불교와 관련이 깊으며 불교 요람의 산을 전단산이라 한 것이다.

정병산은 창원의 북쪽을 병풍처럼 길게 둘러싸고 있으나 마금산온천에 위치한 백월산쪽에서 보면 마치 첨탑과 같이 뾰족하게 솟아있다. 또한, 전설에는 산세를 소에 비유하여 설명하고 있다. 즉 소가 북쪽을 향하여 발을 뻗고 누워있는 형세를 취하고 있어서 산의 북쪽에 물이 많이 난다고 하였는데, 우곡사 근처에서 이러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정병산(566m)은 창원외곽을 둘러 싸고 있는 비음산(510m), 대암산(669m),불모산(801m)을 경유하는 창원외곽 1일 등산 종주 코스로 이름나 있으며 또한 산 정상에서 바라보는 창원공단 및 정돈된 시가지의 모습과 동읍, 대산면의 광활한 평야를 한눈에 볼 수 있고 산 정상부에는 행글라이더를 이용할 수 있는 활공장시설이 마련되어 있는 산악 관광명소로 유명하다.

↗ 계획도시, 아름다운 도시 창원시 전경

리제스타워오피스텔 그리고 롯데백화점이 보인다

시원한 바람맛보며 정상에 서서 아름다운 창원시를 가슴에 품어본다

↗ 동읍과 저남주수지

↘ 내정병산 방향으로 하산길

↑조각상 소나무

창원시에서 조작상 소나무라고 명명해놓았다

↗ 헬기장

↑↓ 정병산 수리봉

↗ 정병산 지킴이솔

창원시에서 등산로에 신경을 좀 쓴것이 보인다

특이한 솔나무에는 표지목을 붙여서

이름을 명명해 놓아서...!

↕ 內精兵峰(내정병봉) 內鳳林峯(내봉림봉)

↗일심통제 소나무

↗내정병봉 체육시설지

↗ 고사목에 누군가가 멋지게

조각을 해 놓았다

↑길상사

경상남도 창원시 용동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1교구 본사 송광사의 말사이다.
2004년 2층 규모의 대법당인 무량수전(無量壽殿 = 극락전(極樂殿) = 아미타전(阿彌陀殿)을 봉안하였으며

1층 무량수전에는 아미타불(阿彌陀佛)을 중심으로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무량광 無量光)이 협시보살(脇侍菩薩)로서

봉안되어 있으며, 여의주를 입에 문 용을 조각하여 장식하였다.

무량수전은 우리나라에서는 대웅전 다음으로 많이 설치되어 있다

2층은 석가모니불, 지장보살, 관세음보살, 약사여래불과 함께

천 분의 부처를 모신 천불보전이 봉안되었으며

무량수전 앞에는 여래입상 부조 형태의 마애삼존여래불이 봉안되어 있다

↕ 창원 숲속나들이길을 걸어서

출발지 창원종합사격장 원점으로 돌아와서 산핸종료

↗창원종합사격장

↗창원종합사격장 표지석 백발백중(百發百中)

↗내모자

onE SHOT - onE KILL 로고와 百發百中 유사점이 있어

함께놓고 찍어보았다.

♣ 정병산 정상에서 바라본 아름다운 창원시를

가슴에 품어보고 발길을 집으로 향해 돌였다.

정병산(精兵山),정상에서 아름다운 창원을 품어보다

바다늑대Forever[2012.10.24]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