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ㅅ어
- 무드연주곡
- 2007)
- 戒 Lust
- dd
- BEOWULF
- UCC
- 베오울프
- 20일만에결혼
- The Simpsons Movie
- 호텔여직원과
- 사한
- 색
- 얼짱보디빌더 박수희
- 첫눈에반한
- 미소
- 몸은 액션?
- 계 色
- 행운을드립니다
- ㅕㄴ으로
- 보내세요
- (2007)예고편
- Caution
- 베스트 20
- 풍요로운추석명절
- 제니퍼 애니스톤
- 초미니 비키니 눈길
- 얼굴은순정
- 두바이왕자
- Today
- Total
바다늑대 FORCE
[스크랩] 풍랑(너울성 파도)발생시 대처요령 본문
풍랑(너울성 파도)발생시 대처요령
▶ 풍랑 오기 전에는
○ 과거의 재해기록을 파악하고, 풍랑 발생 시 어떠한 상황이 예상되는지를 파악해 둡시다.
○ 만일에 대비하여 대피장소를 정하고 대피 경로를 실제 도보로 확인해 둡시다.
○ 손전등, 라디오, 가정상비약 등 대피준비물을 준비해 둡시다.
▶ 풍랑 주의보 때에는
1. 해안가에서는
○ TV, 라디오 등을 통해 풍랑정보를 수시로 확인하고 관공서의 재난 예 · 경보를 청취합시다.
○ 장애인, 노약자, 어린이는 외출을 자제하며 특히 해안가에 접근하지 맙시다.
○ 해안가의 낚시꾼, 야영객, 행락객 등은 인근의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 해안가 위험축대 등 시설물은 사전에 철거하거나 접근을 하지 맙시다.
○ 높은 파도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방파제, 방조제 등에 가지 맙시다.
2. 해상에서는
○ 항해 중 또는 조업어선은 인근 선박이나 관계기관(어업무선국 등)에 연락하고 대피를 준비합시다.
○ 어망의 부설을 중지하고 철거조처를 취합시다.
○ 항 내 정박 · 선박은 충돌, 침몰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합시다.
3. 수산시설은
○ 수산 증 · 양식시설을 고정하고 지지대로 보강하여 높은 파도와 강풍에 유실되지 않도록 합시다.
○ 이동 가능한 양식자재 · 해상작업대 등은 안전한 장소로 이동 조치합시다.
○ 항 · 포구 부두 및 어선에 적재된 어구는 육지의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시다.
4. 항만시설은
○ 각종 하역장비별 피해예방활동을 합시다.
○ 크레인 전도방지용 장비 등 안전장치를 점검합시다.
○ 항만공사장의 공사용 장비, 사람은 안전지대로 대피합시다.
▶ 풍랑 경보 때는
1. 해안가에서는
○ TV, 라디오 등을 통해 풍랑정보를 수시로 확인하고 관공서의 재난 예 · 경보를 청취합시다.
○ 장애인, 노약자, 어린이는 외출을 자제하며 특히 해안가에 접근하지 맙시다.
○ 해안가의 낚시꾼, 야영객, 행락객 등은 인근의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 해안가 위험축대 등 시설물은 사전에 철거하거나 접근을 하지 맙시다.
○ 높은 파도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방파제, 방조제 등에 가지 맙시다.
○ 해안가 주택, 영업점에서는 발화성, 유독성의 위험한 가재도구를 이동시키고, 신속한 대피를 할 수 있도록 준비합시다.
○ 해안도로는 유실 등이 예상되므로 통행을 자제합시다.
○ 피난 권유나 방송이 없을 시에도 위험을 느끼게 되면 스스로 대피합시다.
2. 해상에서는
○ 항해 중 또는 조업어선은 인근 선박이나 관계기관(어업무선국 등)에 연락하고 대피를 준비합시다.
○ 어망의 부설을 중지하고 철거조처를 취합시다.
○ 항 내 정박 · 선박은 충돌, 침몰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한다.
○ 소형어선은 안전한 육지로 인양하고 결박(고정)조치를 취한다.
3. 수산시설은
○ 수산 증 · 양식시설을 고정하고 지지대로 보강하여 높은 파도와 강풍에 유실되지 않도록 합시다.
○ 이동 가능한 양식자재 · 해상작업대 등은 안전한 장소로 이동 조치합시다.
○ 항 · 포구 부두 및 어선에 적재된 어구는 육지의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시다.
○ 인양 가능한 시설물은 신속히 인양하여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시다.
○ 수산생물의 먹이양을 조절하고 사육밀도를 낮춥시다.
○ 양식어류 도피방지를 위한 보호망을 보강 설치합시다.
4. 항만시설은
○ 각종 하역장비별 피해예방활동을 합시다.
○ 크레인 전도방지용 장비 등 안전장치를 점검합시다.
○ 임항창고, 야적장, 조명시설, 급수시설 등을 고정 및 보강합시다.
○ 컨테이너, 원목, 기타 적재화물 등은 풍랑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이동 또는 결박(고정)합시다.
○ 항만공사장의 공사용 장비, 인원은 안전지대로 대피합시다.
○ 항만 공사 중인 현장은 피복석, 테트라포드(호안용 블록) 등 보강자재를 활용하여 보강조치를 취합시다.
'119현장일기 > 하나일구安全敎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지진 발생 때는 (0) | 2012.07.02 |
---|---|
[스크랩] 응급환자 신고․상담 ‘119’로 통합 (0) | 2012.06.21 |
[스크랩] 폭염안전 (0) | 2012.06.20 |
[스크랩] 농기계안전사고 예방의 시작은 철저한 점검부터 (0) | 2012.06.17 |
가스 어떻게 하면 안전하게 사용할수 있을까? (0) | 2012.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