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늑대 FORCE

[스크랩] 폭우(暴雨)속의 안전수칙 본문

119현장일기/하나일구安全敎室

[스크랩] 폭우(暴雨)속의 안전수칙

바다늑대FORCE 2011. 8. 2. 11:17

폭우(暴雨)속의 안전수칙
 

 

 

01 호우예보 때는?


-주택의 하수구와 집주변의 배수구를 점검합시다.

-침수나 산사태 위험지역 주민은 대피장소와 비상연락방법을 미리 알아둡시다.

-하천에 주차된 자동차는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시다.

-응급 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등은 미리 준비해둡시다.

-저지대·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침수 시 피난 가능한 장소를 동사무소나 시·군·구청에 연락하여 알아 둡시다

-대형공사장, 비탈면 등의 관리인은 안전 상태를 미리 확인합시다.

-가로등이나 신호등 및 고압전선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공사장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운행 중인 자동차의 속도를 줄여주세요.

-천둥·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지역으로 대피합시다.

-물에 떠내려갈 수 있는 물건은 안전한 장소로 옮깁니다.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건물의 출입문이나 창문을 닫아둡시다.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물에 잠긴 도로로 지나가지 맙시다.

-대피할 때 수도와 가스 밸브를 잠그고, 전기차단기를 내려둡시다.

-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호우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일반적으로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것을 말하며,

12시간 80mm 이상일 경우 호우 주의보,

12시간 150mm 이상일 경우에는 호우경보를 발령합니다.

 



02 호우주의보 및 경보때는?


도시지역에서는

-저지대·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대형공사장, 비탈면 등의 관리인은 안전 상태를 미리 확인합시다.

-가로등이나 신호등 및 고압전선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공사장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도로에 있는 차량은 속도를 줄여서 운전합시다.

-천둥·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지역으로 대피합시다.

-물에 떠내려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안전한 장소로 옮깁니다.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건물의 출입문이나 창문을 닫아둡시다.

-아파트와 고층건물 옥상이나 지하실 및 하수도 맨홀에 가까이 가지 맙시다.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를 하지 마시고,

-지하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합시다.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호우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 농촌지역에서는

-저지대·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집주변의 산사태 위험이 있는지 살피고 대피 준비를 합시다. 

-고압전선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천둥ㆍ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지역으로 대피합시다.

-물에 떠내려갈 수 있는 물건을 안전한 곳으로 옮깁시다.

-모래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하천의 물이 넘치지 않도록 하여

-농경지의 침수를 예방합시다.

-논둑을 미리 점검하시고 물꼬를 조정합시다.

-교량은 안전한지 확인 후에 이용합시다.

-산사태가 일어날 수 있는 비탈면에 접근하지 맙시다.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호우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농작물을 보호하려는 조치를 취합시다.

-집주변이나 농경지의 용ㆍ배수로를 미리 점검합시다.

-산간계곡의 야영객은 미리 대피합시다.

-이웃이나 가족 간의 연락방법과 비상시 대피방법을 확인합시다.

-농기계나 가축 등을 안전한 장소로 옮깁시다.

-비닐하우스, 인삼재배시설 등을 단단히 묶어 둡시다.


▶ 해안지역에서는

-저지대·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해안가의 위험한 비탈면에 접근하지 맙시다.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를 하지 마시고, 지하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합시다.

-가로등과 고압전선 근처에 가까이 가지 맙시다.

-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맙시다.

-공사장 근처에 가까이 가지 맙시다.

-해안도로로 운전하지 맙시다.

-천둥ㆍ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지역으로 대피합시다.

-육지의 물이 바다로 빠져나가는 곳 근처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연락합시다.

-출입문, 창문 등을 잠급시다.

-교량은 안전한지 확인한 후에 이용합시다.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라디오, TV 등에 의한 기상예보와 호우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바닷가의 저지대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물에 떠내려갈 수 있는 어망ㆍ어구 등을 안전한 곳으로 옮깁시다.

-해수욕장 이용은 하지 맙시다.


▶ 산악지역에서는

-산사태 발생지역의 주민은 대피 준비를 합시다.

-재배시설 등의 피해를 줄이려는 조치를 합시다.

-기상정보와 강우상황을 주의 깊게 들읍시다.



다시한번 폭우때의 안전 수칙 기억하시고~

모두들 당황하지 마시고

이 상황을 대처합시다!

출처 : 119해병-바다늑대Forever
글쓴이 : 바다늑대[507] 원글보기
메모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