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20일만에결혼
- 풍요로운추석명절
- dd
- 행운을드립니다
- 보내세요
- 제니퍼 애니스톤
- 얼짱보디빌더 박수희
- 2007)
- 호텔여직원과
- 베오울프
- 초미니 비키니 눈길
- ㅕㄴ으로
- 베스트 20
- 얼굴은순정
- 戒 Lust
- 사한
- ㅅ어
- 미소
- 계 色
- The Simpsons Movie
- 색
- 첫눈에반한
- 몸은 액션?
- 두바이왕자
- (2007)예고편
- Caution
- BEOWULF
- UCC
- 무드연주곡
Archives
- Today
- Total
바다늑대 FORCE
황사 대비 요령 본문
봄의 불청객, 황사야 가라! | |
|
○ 텔레비전, 인터넷, 라디오를 통해 기상 정보를 확인합시다.
○ 황사가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을 닫읍시다.
○ 황사는 알레르기성 결막염, 비염, 기관지 천식 등을 유발하므로 노약자, 어린이는 가능한 한 외출을 삼갑시다.
○ 어쩔 수 없이 외출할 때에는 긴소매 옷을 입고 마스크, 보호용 안경 등을 착용합시다.
○ 귀가하면 손발을 깨끗이 씻읍시다.
○ 채소나 과일은 더욱 깨끗이 씻읍시다.
○ 가습기 등으로 집안의 습도를 일정하게 조절합시다.
1. 가정에 계신다면
○ 황사가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 등을 점검하세요.
→ 실내에서는 공기정화기, 가습기 등을 준비하세요.
→ 외출시에 필요한 보호안경, 마스크, 긴소매 의복 등을 준비하세요.
→ 포장되지 않은 식품은 오염되지 않도록 위생용기 등에 넣으세요.
2. 학교 등 교육기관에 계신다면
○ 기상청에서 발표한 기상예보를 청취하여 지역실정에 맞게 휴교 또는 단축수업을 검토하세요.
→ 학생들의 비상연락망을 점검하여 연락체계를 유지해주시고
→ 휴교 조치시 맞벌이부부 자녀에 대해서는 학교에서 자율학습을 하도록 하세요.
○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황사 피해예방 행동요령을 지도 · 홍보 하세요.
3. 축산 · 시설원예 등을 하신다면
○ 야외나 방목장에 있는 가축을 대피시킬 수 있도록 준비하세요.
○ 노지에 방치 · 야적된 사료용 볏짚 등을 덮을 피복물을 준비하세요.
○ 동력분무기 등 황사세척용 장비를 점검하세요.
○ 비닐하우스, 온실 등 시설물의 출입문과 환기창을 점검하세요.
※ 제조업체 등 사업장에서는 자재 및 생산제품의 야적을 억제하고, 어쩔 수 없는 경우 포장을 덮읍시다.
1. 가정에 계신다면
○ 가능한 한 외출을 삼가시고 외출 시에는 보호안경, 마스크, 긴소매 의복을 착용하시며 귀가 후에는 손발 등을 깨끗이 씻고 양치질을 하세요.
○ 황사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을 닫고 공기정화기와 가습기를 사용하여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세요.
○ 황사에 노출된 채소, 과일, 생선 등 농수산물은 충분히 세척 후 요리하세요.
○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품가공 · 조리 시 손을 철저히 씻으세요.
2. 학교 등 교육기관에 계신다면
○ 유치원생과 초등학생들의 실외활동을 금지하고 수업단축 또는 휴교 조치를 취하세요.
○ 실외학습, 운동경기 등을 중지하시거나 연기하세요.
3. 축산 · 시설원예 등을 하신다면
○ 야외나 방목장에 있는 가축은 축사 안으로 신속히 대피시켜 황사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세요.
○ 축사의 출입문과 창문을 닫아 황사 유입을 최소화하고 외부의 공기와 접촉을 가능한 적게 하세요.
○ 노지에 방치 · 야적된 사료용 건초, 볏짚 등을 비닐이나 천막으로 덮으세요.
○ 비닐하우스, 온실 등 시설물의 출입문과 환기창을 닫으세요.
※ 제조업체 등 사업장에서는 불량률 증가, 기계 고장 등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일정 조정 · 상품포장 · 청결상태유지에 유의합시다.
1. 가정에 계신다면
○ 실내공기를 환기시켜 주세요.
○ 황사에 노출되어 오염된 물품은 충분히 세척 후 사용하세요.
2. 학교 등 교육기관에 계신다면
○ 학교의 실내 · 외를 청소하여 먼지를 제거하세요.
○ 학생들의 건강을 살펴서 감기·안질환자 등은 쉬게 하거나 일찍 귀가 시키세요.
○ 황사 후 발생할 수 있는 전염병에 대한 예방접종을 실시하거나 식당 등에 대한 소독을 실시하세요.
3. 축산 · 시설원예 등을 하신다면
○ 비닐하우스 · 축사 등 시설물, 방목장 사료조, 가축과 접촉되는 기구류 등은 세척하거나 소독을 실시하세요.
○ 황사에 노출된 가축의 몸에 묻은 황사를 털어낸 후 소독을 해 주세요.
○ 황사가 끝난 후 2주일 정도 질병의 발생유무를 관찰하세요.
○ 구제역 등의 증세가 나타나는 가축이 발견되면 즉시 신고하세요.
1. 방송매체를 통한 확인
○ TV나 라디오의 일기예보를 청취하세요.
2. 기상청 및 국립수의과학검역원(www.nvrqs.go.kr) 홈페이지를 통한 확인
○ 기상청 : www.kma.go.kr
○ 국립수의과학검역원 : www.nvrqs.go.kr
3. 전화를 통학 확인
○ 국번없이 131(지역번호+131)번이나 기상청(02-841-0011 / 02-831-0365), 국립수의과학검역원(031-467-1851)으로 전화해보세요.
※ 황사란?
주로 중국 북부나 몽골의 건조 · 황토지대에서 바람에 날려 올라간 미세한 모래 먼지가 대기 중에 퍼져서 하늘을 덮었다가 서서히 강하하는 현상 또는 강하하는 흙먼지를 말합니다. 3~5월에 많이 발생하며 때로는 상공의 강한 서풍을 타고 한국을 거쳐 일본 · 태평양 · 북아메리카까지 날아갑니다.
'119현장일기 > 하나일구安全敎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염대비요령 (0) | 2007.08.01 |
---|---|
풍수해 안전요령 (0) | 2007.06.22 |
산행시 안전수칙 (0) | 2007.04.18 |
기도를 확보하는 이유 (0) | 2007.04.12 |
구급차사고 면책 논란 (0) | 2007.03.14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