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늑대 FORCE

[스크랩] 황사대비 국민행동 요령 본문

119현장일기/하나일구安全敎室

[스크랩] 황사대비 국민행동 요령

바다늑대FORCE 2009. 2. 21. 15:09

황     사


□ 황사대비 국민행동 요령

황사로부터 내 건강․내 가족 등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황사발생 기상정보」를 확인하여

○ 「국민행동요령」에 따라 신속하게 대처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황사발생 확인 3가지 방법>

 

 

 

 

 

 

방송매체를 통한 확인

 

▶ TV의 일기예보

   시청

▶ 라디오의 일기

   예보 청취

 

기상청 및 국립수의과학

검역원 홈페이지 수시 확인

 

▶ 기상청

   www.kma.go.kr

▶ 국립수의과학검역원

   www.nvrqs.go.kr

 

전화를 통한 확인

 

 

▶ 기상청

(02) 841-0011

(02) 831-0365

국번없이 131

(타지역 기상정보/

지역번호+131)

▶ 국립수의과학검역원

(031)467-1851, 1853

 

 

 

 

 

 

 

 

 

 

황사 발생전


1) 가정에서

○ 황사가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 등을 점검하고

- 실내 공기정화기 및 가습기 등을 준비

- 외출시 필요한 보호안경, 마스크, 긴소매의복 등을 준비

○ 포장되지 않은 식품 등은 운반시 오염되지 않도록 위생용기 등을 준비

2) 학교 등 교육기관에서

○ 기상청 등에서 발표한 기상예보를 청취․분석하여 지역실정에 맞게 휴업 또는 단축수업 등을 신중히 검토

- 학생 비상연락망 점검 및 연락체계 유지

- 휴업 조치시 맞벌이 부부자녀에 대한 자율학습대책 등 수립

○ 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황사발생대피 피해예방을 위한 행동요령 지도 및 홍보 실시

3) 축산․시설원예 등 농가에서

○ 운동장 및 방목장에 있는 가축 대피 준비

○ 노지에 방치, 야적된 사료용 볏짚 등에 대한 피복물 준비

○ 동력분무기 등 황사세척용 장비 점검․장비

○ 비닐하우스, 온실 등 시설물의 출입문 및 환기창 점검

※ 기타 제조업체 등 사업장에서는 자재 및 생산제품의 옥외야적을 억제하고, 불가피한 경우 포장 및 차단시설 설치

황사 발생중


1) 가정에서

○ 가급적 외출을 삼가되, 외출시 보호안경, 마스크, 긴소매의복을 착용하고, 귀가후 손과 발 등을 깨끗이 씻고 양치질

○ 황사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을 닫고 실내공기의 정화 및 가습기를 사용한 실내 적정습도 유지

○ 황사에 노출된 채소, 과일 등 농수산물은 충분히 세척 후 섭취

○ 식품가공, 조리시 철저한 손씻기 등 위생관리로 2차오염 방지

2) 학교 등 교육기관에서

○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실외활동 금지 및 수업단축 또는 휴업

- 황사발생기간중 실외학습, 운동경기 등 중지 및 연기 조치

3) 축산․시설원예 등 농가에서

○ 운동장, 방목장에 있는 가축은 축사안에서 신속히 대피시켜 황사에 노출방지

○ 축사의 출입문 및 창문을 닫아 황사유입을 최소화하여 외부의 공기와 접촉을 가능한 적게 할 것

○ 노지에 방치․야적된 사료용 건초, 볏짚 등을 비닐, 천막 등으로 덮기

○ 비닐하우스, 온실 등 시설물의 출입문 및 환기창 닫기

※ 기타 제조업체 등 사업장에서는 생산공정 불량률 발생방지를 위한 작업일정 조정 및 상품포장, 청결상태 유지

황사 종료후


1) 가정에서

○ 실내공기의 환기 및 환경 정화

○ 황사에 노출 및 오염된 물품 등은 충분히 세척후 사용

2) 학교 등 교육기관에서

○ 학교 실내․외 방역 및 청소를 통한 먼지 제거

○ 학생건강 등 피해상황 파악 및 사후조치

○ 감기, 안질 등 환자는 쉬게 하거나 일찍 귀가조치

○ 황사발생후 발생할 수 있는 전염병에 대한 예방접종 등 실시

3) 축사․시설원예 등 농가에서

○ 비닐하우스․축사 등 시설물, 방목장 사료조 및 가축과 접촉되는 기구류 등은 세척 및 소독 실시

○ 가축이 황사에 노출되었을 때는 몸체에 묻은 황사를 털어낸 후 구연산소독제 등을 이용 분무소독 실시

○ 황사가 끝난 후 2주일정도 질병의 발생유무 관찰

○ 구제역 증상과 유사한 병든 가축 발견시 신고(1588-4060)

 

대상가축 및 의심증상

 

 

 

- 대상가축:소, 양, 염소, 사슴, 돼지 등 우제류동물(발굽이 두 개로 갈라진 동물)

- 구제역, 감염가축의 의심증상

  ∙ 고열, 식욕부진, 유량감소

  ∙ 심한 거품성 침을 많이 흘림

  ∙ 코, 입, 입술 및 혀 등에 물집(수포) 또는 궤양형성

  ∙ 젓꼭지에 수포, 가피, 궤양이 형성

  ∙ 발굽(지간부)에 수포, 가피 및 궤양으로 발을 쩔뚝거리다 결국은 일어서지 못하는 증상 등

      ※ 기타 사업장에서는 황사에 노출된 자재, 제품 등은 세척

출처 : 황사대비 국민행동 요령
글쓴이 : 바다늑대[507] 원글보기
메모 : 황사
Comments